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학습 Q

사회 중등 기출 13번

  • 작성자기*윤
  • 작성일2024.11.03
  • 조회수242
  • 신고하기

안녕하세요! 사회 중등 기출 질문드립니다.

 

제시문에서 '특히 지리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ㄱ을 파악하기 위해 ㄴ(심상지도)를 많이 활용하였다'라고 제시되어 있는데,

ㄱ에 들어갈 말로 장소감, 사적 지리도 해당되는 것 아닌지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ㄱ이 포함된 다른 설명을 봐도 장소감, 사적지리에 해당하는 말 같습니다..)

 

또 장소감, 사적 지리, 공간인지를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셋 다 같은 것으로 봐도 될까요?

답변완료

  • 담당자시그니처
  • 답변일2024.11.05

안녕하세요,

질문 남겨주시어 감사드리며 남겨주신 내용에 차례로 답변드립니다.

 

1. 본 문항을 출제한 교수님께서 인정 답안을 어디까지 두셨을지는 확실치 않습니다만,  두 번째 빈칸 ㉠이 포함된  "( ㉠ )에 대한 연구는 피아제(J. Piaget)의 인지 발달이론으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끌어왔다." 등의 진술에 따라 ㉠에 해당하는 모범 답안은 공간인지가 됩니다.

 

아래 읽어보시면 좋을 내용을 첨부드리니, 강의 자료 및 문항과 함께 살펴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이라 봅니다.

 

  • 1970년대 초부터 환경지각에 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였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환경지각 연구는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으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끌어왔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교사가 학생들의 지리학습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특히 지리교육에서는 학생들의 환경지각을 파악하기 위해 심상지도 또는 인지도를 많이 활용하였다. 
    심상지도는 사람들이 장소에 대한 자신의 심상을 표현하는 지도이다. 이는 종종 아동의 지도 그리기 능력과 공간인지에 대해 알아내는 유용한 방법으로 간주된다(Boardman, 1987, 1989).

 

 

2. 장소감, 사적지리, 공간인지의 차이를 물으셨는데요.

 

개인의 주관적인 지리 인식과 환경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개인만의 내밀한 지리 인식이며, 이를 "사적 지리" 또는 "개인 지리"라고 합니다. 사적 지리는 학생들의 일상 속에서 암묵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지식으로, 반드시 수업 시간을 통해서만 아니라 학생들이 본인의 삶에서 개인적으로 형성한 지리 지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

 

사적 지리의 대표적인 경우가 "장소감"이라 할 수 있지만(강의에서 제 본적인 영등포와 관련하여 말씀드렸던 기억이 납니다.), 사적지리와 장소감이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닙니다.

 

한편 다수가 공유하여 제도적으로 승인, 공인받은 지리 지식이 "공적 지리"입니다. 여러 학자들의 지리 인식이라던가, 사회과 교육과정, 교과서 역시 공적 지리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적지리, 공적지리과 관련된 내용은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용 도서 참고자료에도 수록되어 있고 사회과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있는만큼, 반드시 학습해두서야 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간인지(spatial cognition)는 공간을 어떻게 인지, 인식하는가에 대한 것으로, '공간을 대상으로 사고해 구성한 지식'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고, 공간인지발달론을 주장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기출된 수준에서만 정리해두시면 초등 임용시험 대비로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시험까지 남은 기간 컨디션 관리 잘하시면서 마무리 학습하시어 만족스런 결과 얻으실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