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 시그니처 오리지널 모의고사 해설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국어 2. 3) 문제를 풀 당시, 국어 지도서 부록의 ‘독서 동기 촉진하기’ 내용이 떠올랐고,
그 중 ‘독서를 촉진하고 독서 동기를 촉진하기 위한 체계’의 <몰입 시범 기대 책임 사용 유사성 반응> 중 '반응'을 답으로 적었습니다.
나중에 제가 떠올렸던 원문을 다시 찾아보니 " '반응'은 학생의 독서 학습에 대한 피드백이며 교사, 학부모 등은 학생들의 독립적인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긍정적 피드백을 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읽기를 학습하도록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라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이 '피드백'이 일종의 강화, 혹은 칭찬이라고 생각하고 여지껏 학습을 해왔고 문제를 풀 때도 똑같이 적용하여 풀었는데요,
혹시 이 '반응'도 '외재적 동기'에 포함이 되는지 궁금하여 질문 올립니다.
미리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남겨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질문에 답변드리면, 남겨주신 부분에 인용(국어 교사용지도서 부록)된 원전 자료에서 다루는 내용은 모두 학습자의 "내재적 학습 동기"와 관련된 내용을 서술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관련 부분의 서두를 읽어보시면 명시하고 있기도 하고요.
독서 동기(reading motivation)은 독서 행위를 유발하여 독서 과정을 끌어 내는 요인으로, 동기 유발의 자발성 및 목적성에 따라 크게 내재적 (독서)동기, 외재적 (독서)동기로 구분해 볼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내재적 동기란 학습자의 자발적인 흥미, 관심, 내적 보상에 의해 독서 행위를 유발하는 것인 반면, 외재적 동기란 보상이나 인정, 벌과 같은 외적인 자극이나 독서 행위 후의 결과에 의해 읽기 행위가 유발되는 것을 말하오니, 이점 참고하시어 정리해두시면 좋겠습니다.
시험까지 얼마 남지 않은 기간 마무리 학습 잘하시어 원하시는 결과 얻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