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과정 구분
과정 카테고리
태그
검색어

학습 Q

중등 국어 63번

  • 작성자기*윤
  • 작성일2024.10.22
  • 조회수284
  • 신고하기

63번 디지털 텍스트 독해의 이론개관을 읽으며 여러 용어들이 헷갈려 질문 드립니다.

'다문서 읽기' '주제 중심의 독서' '주제 통합적 독서' '다중 텍스트 독서' 의 구분이 헷갈립니다.

전부 '하나의 화제,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의 글이나 책을 읽는 것'으로 통틀어 이해하였는데,

4개 개념 모두 비슷한 개념이라고 이해해도 되는 것인가요?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면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완료

  • 담당자시그니처
  • 답변일2024.10.26

안녕하세요,
질문 남겨주신 내용에 답변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다문서 읽기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대해선 학자마다 의견을 달리하며 최근에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내용이기에, 해당 용어를 명확히 구분하려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딱 기출되었던 그 정도로만 학습해두시더라도, 초등 임용시험 대비로 충분하다 못해 넘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각각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다문서 읽기에 대해 연구하신 오은하 교수님의 연구 내용을 인용하자면, "다문서 읽기"란 "내용이나 형식, 저자, 배경 측면에서 서로 관련없는 이질적인 복수의 텍스트를 화제 및 과제 중심으로 관련짓고 응집적 의미로 구성해 나가는 일체의 의미 (재)구성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용어는 국어 앞 부분에서 문항으로도 풀어보았던 신토피컬 독서 즉, "주제 통합적 읽기(syntopical reading)"와 비슷한 용어인데요. 참고로 신토피컬 독서는 1970년대 아들러라는 학자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아들러가 제시한 독서의 네 수준에서 최고 수준에 해당하는 것이 주제 통합적 독서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한편, "다중 텍스트 독서(읽기)"는 주제나 화제와 관련하여 관련을 가진 다수의 텍스트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이해하고 의미를 구성하며 읽는 것입니다.

 

상기한 내용 중에선 가장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된 "주제 통합적 읽기"가  출제에 있어 용이하기에, 해당 내용 위주로 정리해두시면 좋겠습니다. 이때, 초등학교에서도 주제 통합적 읽기를 하기는 하는 경우가 있고 또 교사용지도서에서 역시 해당 내용이 제시되어 있긴하나, 사실 중학교/고등학교 수준에서의 독서가 지향하는 바가 "주제 통합적 읽기"다보니 시험을 얼마 남기지 않은 이 시점에는 "주제 통합적 읽기" 역시 가볍게만 살펴보시고 넘어가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