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질적 평가가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평가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 예로 수행평가가 있다는 것도요.
다만, 양적 평가의 예시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것을 양적 평가라고 할 수 있나요?
표준화된 검사가 그 예시일까요??
안녕하세요?
질적 평가가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평가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 예로 수행평가가 있다는 것도요.
다만, 양적 평가의 예시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것을 양적 평가라고 할 수 있나요?
표준화된 검사가 그 예시일까요??
===
선생님, 안녕하세요.
질문 남겨주신 것에 답변드립니다.
자료의 종류, 그리고 이를 해석하는 방법에 따라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나뉩니다.
이때 양적 평가는 기록이나 득점, 횟수 등과 같이 정량화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방법인데요.
즉, 양적 평가는 간단히 말하자면 "기록 위주"의 평가, 즉 "학생의 학습 성취 정도를 수치로 환산"하는 평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강의에서 다룬 체육 개론서 472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시리라 봅니다.)
예를 들어 "50m 달리기"의 경우, 빨리 달리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된 방법으로,
이 방법은 실기 평가이면서 동시에 고도의 표준화된 검사 방법이고, 또한 질적 평가가 아닌 양적 평가이고, 과정이 아닌 결과 중심의 평가에 해당합니다.
관련된 내용은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중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선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선정
① 평가를 위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성취기준, 단위 학교 수업 내용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② 평가를 위한 성취기준 선정 시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 등을 고려하여 영역별 성취기준을 나누거나 통합할 수 있다. 단, 성취기준을 나누거나 통합할 경우, 내용 영역별 성취기준이 누락되지 않도록 한다.
③ 성취수준은 점수화 및 등급화를 위한 기능의 단순 분류나 기록의 명시보다는 영역별 내용 요소에 따른 기능의 도달 정도를 구체적인 행동 수준으로 진술하고, 평가 등급(단계) 또한 양적 요소와 질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여 수준에 맞게 진술한다.
한편, 임용시험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체육 수업 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아래 첨부 수록해드리니,
앞서 언급드린 개론서 내용과 함께 이하 내용을 함께 공부하시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시리라 봅니다.
# 양적 평가
학습의 결과를 통하여 행동적으로 드러나는 외적 가치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과학적 신뢰도, 타당도, 객관적인 절차 등의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집단을 대표하는 피시험자를 표집하고, 동일한 지시와 절차에 의해 검사를 시행한 후, 객관적인 절차에 의해 성취도를 측정하는 표준화 검사가 있다.
# 질적 평가
외적으로 측정될 수 없는 학습에 대한 내적 가치와 질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절대적 기준보다는 평가자의 전문가적 판단에 의존한다. 다양한 평가 자료를 기초로 하는 수행평가는 질적 평가의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수행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학업 성취 과정과 결과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가 학습자에 대한 전문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제까지 체육 교육 평가의 문제점으로 제시되어 온 기능 중심,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벗어나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들을 고르게 평가할 수 있는 방식이다.
8월도 끝으로 가고 있는데 아직 날씨가 많이 덥습니다.
여름 막바지 건강 잘 챙기시면서 계획대로 학습하실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