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기타독서 전략은 과정중심읽기 지도에서 읽기 전/중/후 이외에 사용되는 전략인가요?
> 범주로 보면 과정중심읽기지도 - 읽기 전 전략/ 읽기 중 전략/ 읽기 후 전략/ 기타 독서 전략이라고 보면 될까요?
질문 2 상호작용식 모형의 지도 방법이 과정 중심 읽기 지도라고 알고 있는데 결과 중심 읽기 지도는 어떤 모형의 지도 방법일까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질문 감사드리며, 남겨주신 질문에 차례로 답변드립니다.
<질문 1에 대한 답변>
"과정 중심 지도(과정 중심 듣기/말하기/읽기/지도) 또는 접근법"에서 각각의 전략은 어떤 과정[단계](가령 질문주신 읽기 전/중/후 과정)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주로" 그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내/외 학자마다 각 단계에서 지도되어야 할 전략을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출제자가 어떤 책을 출제 근거로 출제할 지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수험생 입장에서 모든 케이스를 나누어서 외우는 것은 비효율의 극치이고,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최근 출간된 신간 도서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분류했구나"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고, "각각의 전략"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떻게 수업상황에서 적용되는지"를 파악해두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질문 2에 대한 답변>
"결과 중심 접근"에 따른 읽기 수업에선 학생들이 글을 읽기 전 글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배경지식을 갖고 있는지, 글을 읽는 동안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에, 따진다면 상향식 과정에 가깝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덧붙임>
남겨주신 질문과는 무관하나, 읽기 과정 모형의 경우 많은 개론서에서 상향식/하향식/상호작용식을 공통으로 언급하고 있어서 3가지를 언급드렸으나, 연구자에 따라 이 3가지에 교섭 과정 모형, 맥락(사회) 중심 모형 등을 추가하기도 하니 명칭 정도만 간단히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첫 강의 녹화이고, 영상 편집도 처음이라 제가 다시 강의를 봐도 너무 어색한데, 향후 업로드 될 강의는 제법 말도 부드럽고 편집도 제법 손에 익어서 아마 종강으로 갈수록 강의 퀄리티가 올라갈 것(...) 같으니 다음 강의도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